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 내일 채움 공제 신청 후기|2년 근무 시 1,200만 원 받는 방법 정리

by xrp136-1 2025. 7. 3.

청년내일채움공제
청년내일채움공제

“청년이라면 무조건 알아야 할 제도!”
2년간 정규직으로 근무하면 최대 1,200만 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 내일채움공제
저도 실제로 가입해서 혜택받고 있어요.
신청 자격, 절차, 필요 서류, 꿀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!


✅ 청년 내일채움공제란?

중소·중견기업 청년 근로자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으로
2년 또는 3년간 근무 시 정부 + 기업 + 본인 적립금을 합쳐
최대 1,200만 원까지 수령 가능한 청년 전용 공제 제도입니다.

청년내일채움공제
청년내일채움공제

구분내용
운영기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
대상 만 15세~34세 이하의 정규직 청년
혜택 2년 후 본인 300만 원 → 1,200만 원 수령
납입방식 본인 월 12.5만 원 × 24개월 = 300만 원
정부+기업 900만 원 지원 (정부 600 + 기업 300)
 

📝 가입 조건

  • 만 34세 이하 청년 (군필 시 39세까지 연장 가능)
  • 고용보험 가입 경력 12개월 이하
  • 정규직 채용된 중소·중견기업 재직 중
  • 가입 전 6개월 이내 채용된 자
  • 5인 이상 사업장 (예외 있음)

💡 신청 전 꼭 알아야 할 팁

  • 입사 6개월 이내에 가입해야 함 (기간 지나면 불가)
  • 회사가 중기부 등록된 기업인지 확인 필요
  • 고용노동부 HRD-Net → 기업회원 등록 필요
  • 회사와 청년이 각자 절차를 병행해야 신청 완료됨

🧾 신청 방법

1️⃣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이트 회원가입

  • 청년 개인 + 기업 둘 다 가입 필요

2️⃣ 참여신청 → 약정서 작성

  • 온라인으로 약정 체결 (PDF 서명 필요)
  • 회사에서 기업부담금 납입 동의 절차 진행

3️⃣ 중소기업진흥공단 승인 → 공제 시작

  • 승인은 평균 2~3주 소요
  • 승인일 다음 달부터 적립금 자동 납부 시작

청년내일채움공제
청년내일채움공제


💬 실제 신청 후기

  • 입사 2개월차에 신청
  • 기업 담당자분도 처음이라 같이 신청 진행함
  • 초반에 서류 확인, 공인인증서 서명 등이 조금 복잡했지만
  • 승인 완료 후 매월 자동 납부되어 2년 뒤 만기금 수령만 남음!

청년내일채움공제청년내일채움공제
청년내일채움공제

✅ 입사 2~3개월차에 꼭 신청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!
✅ 적립 내역은 마이페이지에서 매월 확인 가능

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중도퇴사 시 적립금은 어떻게 되나요?

A. 본인 납입금(300만 원)만 환급됩니다. 정부/기업 지원금은 소멸됩니다.

Q2. 실수로 신청기간 넘기면 다시 못하나요?

A. 네, 반드시 입사 후 6개월 이내 신청해야 하며, 이후엔 불가합니다.

Q3. 회사가 신청을 잘 모를 때는 어떻게 하나요?

A. 청년이 먼저 신청하고, 회사에 ‘기업 신청 안내자료’를 공유하세요.
중진공이나 고용노동부 지역센터에서도 지원해줍니다.


📋 요약 정리

항목내용
대상 만 15~34세 청년 (정규직)
기간 2년
본인부담 월 12.5만 원
수령액 1,200만 원 (본인 300 + 정부+기업 900)
신청기한 입사 6개월 이내
신청처 sbcplan.or.kr
 

✍️ 마무리 후기

“진짜 이건 청년이라면 무조건 가입해야 하는 제도예요.”
2년간 월 12.5만 원만 꼬박 넣으면,
2년 뒤 1,200만 원 목돈이 생기니까
사회초년생, 자산 시작하는 분들에게 강력 추천합니다.

입사 6개월 이내가 핵심!
회사와 함께 신청 절차 병행 필요!